
#디커플링 을 보면 #네트워크효과 라는 말이 등장합니다. 개념이해는 사례를 들면 아주 이해하기 쉽습니다.
google의 경우, 검색 기록 데이터는 누적되어 알고리즘 개선에 사용, 사용자가 많을수록 데이터가 많아져 검색 알고리즘 개선에 도움이 되며,
아마존은 많은 물건을 구매할 수 있어 많은 구매자가 찾고, 구매자가 많기 때문에 점점 더 판매자가 입점을 희망하는 업체가 많아집니다.
카카오톡처럼 사용자가 많아, 가입만 하면 친구들과 쉽게 연결되기때문에 경쟁력이 강화되는데,
이러한 것이 네트워크효과입니다.
이러한 네크워크효과를 앞세워 사무공간 전대차를
통한 공유경제의 BM으로 야심차게
부동산 분야에 진출해 기업가치가 62조까지 상승했던 #wework 는 재택근무 확산등 사무공간 수요 감소로 파산위기에 처해 몰락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직방을 비롯해 많은 #Proptech 기업들이 애매한 BM, 기존업계와의 충돌, 부동산경기침체, 스타트업 투자열기하락 등으로 내리막을 걷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roptech 의 기술은 계속 발전될 것이고, 디커플링 등 새로운 시도를 통해 성공적인 사업자도 지속 등장할 것입니다.
잘 안된 회사들이 왜 잘 안되었는지 통찰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점입니다.
#proptech #decoupling #wework #직방 #redfin #zillow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운영관리품질이 자산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익명설문조사) (2) | 2024.09.04 |
---|---|
[부동산] 리카르도의 차액지대론 (0) | 2024.07.14 |
[Strategy] Bolt on 전략의 성공방정식 (0) | 2023.08.03 |
[부동산관리] 한국타이어의 추억 (0) | 2023.08.02 |
[부동산] FM - PM - AM 개념 (0) | 2023.07.16 |